정보보안공부
# touch D1/F1 명령어를 통해서 F1이라는 파일을 # | : 우항에 있는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우항 명령어 실행 에러 유무와 무관하게 좌항 명령어를 실행한다. (좌항의 명령어 결과를 대상으로 우항의 명령어를 실행 할 수 있다.) # && : 좌항에 있는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좌항의 명령어가 실패하면 우항에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고 좌항이 성공해야 우항 명령어를 실행한다.( AND ) 명령어 두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 || : 좌항에 있는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좌항 멸영어가 성공시 우항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좌항명령어가 실패한다면 우항 명령어를 실행한다. 명령어 하나만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OR ) # ip address show 하면 inet이 나온다. # i..
# 디렉토리 만들때 : mkdir # 최상위루트(/root) 상태에서 /etc/sysconfig/network-scripts 안에다가 폴더를 a랑 b를 만들려면 -> mkdir /etc/sysconfig/network-scripts/a /etc/sysconfig/network-scripts/b : 효율성이 떨어진다. -> mkdir /etc/sysconfig/network-scripts/{c,d} # 동일한 경로에 여러개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 } 중괄호를 사용해서 지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 한번에 여러개의 디렉터리를 만드는데, 디렉터리 안에 디렉터리 안에 디렉터리를 만들기 -> /root/test1/test2/test3 : 한번에 만들기 1) mkdir test1/test2/test3 : 에러..
# ONBOOT 기능 : 가상 컴퓨터 전원이 가동될 때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열어준다. # ifcfg-ens33이라는 파일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일이다. # i를 눌러 파일을 편집한다. # esc로 편집하는것을 빠져나온다. # ifcfg-ens33 파일에서 ONBOOT 기능을 yes로 설정하면 앞으로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활성화가 된다. -> :wq (rewrite quit : 저장하고 종료시킨다는 뜻) 설정했던거 저장 # reboot 명령어 ( 재부팅 ) # init 6 명령어 ( 재부팅 ) # 네트워크 어댑터의 설정정보 보려면 : ip..
#가상 하드 디스크의 타입의 종류 # 고정 크기 - 장점 : 성능이 동적 크기보다 좋다. - 단점 : 불필요하게 용량이 낭비될 수 있다. - Allocate all disk space now 체크 # 동적 크기 - 장점 : 불필요한 용량 낭비가 없다. - 단점 : 성능이 고정 크기보다 안 좋다. # 가상 하드디스크 파일 종류 - 싱글파일 : 가상 하드 디스크를 만들면 파일로 저장이 되어야 한다. 저장되는 파일을 파일 1개로 저장한다. - 멀티파일 : 여러개의 파일로 쪼개서 저장한다. # 싱글파일 - 장점 : 파일 관리가 용이하다. - 단점 : 파일 하나의 용량이 너무 커질 수 있다. # 멀티파일 - 장점 : 파일 용량을 여러개로 쪼개져 있다. - 단점 :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 마우스는 뺄때는 : ..
# 데이터 : 컴퓨터에 저장되는 모든것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가 저장되어지는 공간 # 데이터베이스 매니지먼트 시스템 : 데이터가 저장되어지는 공간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고, 수정, 삭제, 조회 등 데이터 관련 된 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로그램 # DBMS의 종류 : 오라클, MySQL, DB2, MariaDB, 몽고DB 등등 # SQL : DBMS를 제어하는 명령 예) 데이터를 저장하라고 명령하건 데이터를 삭제하라고 명령하는 것들을 SQL이라고 한다. # 표준 SQL :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지정한 DBMS 프로그램이 공통적으로 똑같이 사용하는 명령을 표준 SQL이라고 한다. # 전자기기 : 전기를 가지고 동작하는 기기 장치 # 하드웨어 :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등 장치에 장..
====Serial Communication==== ***HyperTerminal에 문자열 전송하기 -> kit에서 “information Communication” 이라는 문자열을 PC에 전송 -> 전송속도 9600bps사용 -> UCSR1A, UCSR1B, UCSR1C -> Baud Rate 결정 : UBRR1H, UBRR1L @UCSR1A **Kit에서 PC로 송신 : putchar0() void putchar0(char data) { while(!(UCSR1A & (1 @송신 인터럽트 처리함수 ISR(USART1_UDRE_vect) { UDR1 = rx + 1; //수신된 rx를 송신버퍼에 저장 UCSR1B &= (0
==========================LCD========================== ***NAMSEOUL UNIVERSITY 문자 LCD에 출력하기 #define ALLCLR 0x01 #define CURSOR_HOME 0x02 #define ENTMODE 0x06 #define FUNSET 0x38 #define DISP_ON 0x0C #define DISP_OFF 0x08 #define CURSOR_ON 0x0E #define RIGHT 1 //LCD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헤더파일 #define LEFT 0 //LCD왼쪽으로 이동하는 헤더파일 void init_devices(void) { //초기화 함수 MCUCR = 0x80; EX_LED = 0x00; //모든 LED off FND_S..
=====================Fast PWM모드======================== -> 분주가 작아지면 주기가 짧아지고 분주가 커지면 주기가 길어진다. ***Fast PWM모드 128분주 ***Fast PWM모드 64분주 *** INT4를 클릭하면 OCR 값을 +2 INT7을 클릭하면 OCR 값을 -2 -> 주기가 일정한상태에서 파형을 INT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Phase Correct PWM모드==================== -> Fast PWM과 마찬가지로 주기는 일정 분주에 따라 주기가 변한다. ========================L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