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DBMS_day03 본문

데이터베이스

DBMS_day03

Steady_sp 2017. 7. 13. 22:02

# ONBOOT 기능 : 가상 컴퓨터 전원이 가동될 때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열어준다.

 

# ifcfg-ens33이라는 파일이 네트워크 어댑터를 설정할 수 있는 파일이다.

 

# i를 눌러 파일을 편집한다.

 

# esc로 편집하는것을 빠져나온다.

 

# ifcfg-ens33 파일에서 ONBOOT 기능을 yes로 설정하면 앞으로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활성화가 된다.
-> :wq (rewrite quit : 저장하고 종료시킨다는 뜻) 설정했던거 저장

 

# reboot 명령어 ( 재부팅 )
# init 6 명령어 ( 재부팅 )

 

# 네트워크 어댑터의 설정정보 보려면 : ip a 명령어 사용
-> ip a 명령어 치고 inet x.x.x.x 확인

 

# ping 8.8.8.8
-> 중지하려면 Ctrl + C 를 누른다.

 

# VMWare Workstation에는 스냅샷이라는 기능이 존재한다.

 

# 스냅샷 :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기능

 

# 현재 상태를 저장 해 놓고 나중에 언제든지 다시 그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 현재 상태를 저장할 가상컴퓨터를 선택하고 +시계 아이콘을 누른다.

 

# +시계 아이콘을 누르고 이름을 설정한다.
-> 이름 : 네트워크 설정 후(NAT)
-> Description (스냅샷의 설명을 달아준다. 설명은 생략가능 ) : 생략
-> Take Snapshot 을 누른다.

 

# 리눅스서버에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하는 명령어를 알아야한다.
-> pwd 명령어 ( 내가 지금 현재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현재 경로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root )
-> /root 읽는법 : 최상위에 root ( /의 의미 : 최상위 )
-> 경로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는 최상위라고 칭한다.

 

# 가장 꼭대기임을 뜻 하는 최상위라고 한다.

 

# 윈도우에서는 C:\Users\Administrator : 경로를 보여준다.

 

# 리눅스에서는 / : 최상위
-> root , etc , bin , dev : 경로의 예

 

# cd /etc/sysconfig
-> cd 명령어 ( 다른곳으로 이동하기위해 쓰는 명령어 , cd 뒤에 이동하려는 경로를 입력한다. )
-> 경로에서 제일 왼쪽 / 는 최상위 , 중간에 있는 / 는 구분자이다.
-> 최상위 안에 있는 etc라는 폴더 안에 있는 sysconfig라는 폴더
폴더 == 디렉토리 같은말
-> root@dbms1 sysconfig : sysconfig 로도 내가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수있다.

 

# cd /etc == cd/etc/

 

# cd /etc/sysc 를 누른후 Tap을 두번누르면 sysc에 관련된게 무엇이 있는 지 알수있다.

 

# 경로 자동완성 기능은 그걸로 시작하는 게 딱 한개만 있을때 가능하다.
-> /etc/sysc 는 자동완성이 안된다. 1개가아니라 3개이므로
-> /etc/sysco 는 자동완성이 된다. 1개뿐이므로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를 친다.
-> cd /etc 를 친다. 다시원래대로

 

# cd ./sysconfig/network-scripts/를 친다.
-> ./ : 현재위치는 ./로 대신할수 있다 ( etc = . )
-> 경로 적는것을 간략하게 하기위해서 etc = . 으로 한다.

 

# cd /etc/sysconfig를 치고
-> ./network-scripts/ 를치면 간략하게 사용가능하다.

 

# 절대경로 표기법
-> 최상위부터 경로를 지정한다.

 

# 상대경로 표기법
-> 현재 위치부터 경로를 지정한다.
-> 예 : cd network-scripts

 

# ./는 붙여도되고 생략해도된다.
-> 생략할 경우 자동으로 현재위치가 지정된다.

 

# cd ../ : 한칸 상위 위치로 올라간다.
-> . 은 내위치
-> ..은 한칸 상위 위치

 

# ..한개당 한칸올라간다.
-> ../../ 두칸올라간다.
-> 경로의 맨마지막 생략가능하다. : ../.. 두칸올라간다.

 

# ls / : 내가 지정한 경로에 무엇이 있는지 목록을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ls / : 내위치에 무엇이 있는지
-> ls /root : root위치에 무엇이 있는지

 

# 막치다가 안될떄 Ctrl + C로 빠져나올 수 있다.

 

# 명령어에 옵션이라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 명령어 옵션은 특별한 기능을 수행 할 때 사용하게 된다.

 

# ls -l : ls 명령어에 옵션 l을 쓴다는 의미이다.
-> 옵션 l : 자세한 정보를 보여달라는 것이다.
-> ls -l 을 쳤을때 앞에 d : 디렉토리 , l : 바로가기
-> ls -l /root를 쳤을때 앞에 - : 파일, root root 뒤에 4자리숫자 : 파일의 용량
-> 용량의 단위가 안적혀있으면 바이트

 

# ls -a /root
-> -a 옵션 a는 숨겨진 파일을 보고싶을 때 사용

 

# ls -la /root
-> -la 옵션 la는 숨겨진 파일과 자세히 보고싶을 때 사용

 

# ls -lh /root
-> 옵션h는 l과 같이써야 한다.
-> 옵션h는 용량의 단위를 표기시킨다. 1.3KB
-> 옵션h는 올림 처리를해서 정확한 용량을 알 수는 없다.

 

# ls -S /
-> 용량이 큰게 왼쪽으로 정렬된다.
-> ls -l로 확인

 

# ls -lS /
-> 큰게 위로 정렬된다.

 

# ls -R /etc/sysconfig/
-> sysconfig
-> 옵션 R은 sysconfig안에있는 하위폴더까지 다 보여주는 기능이있다.

 

# cd /root를 하고 mkdir ( make directory : 폴더를 만드는 명령어)

 

# mkdir /root/a

 

# mkdir ./b

 

# mkdir c

 

# ls
-> a b c 확인
-> 파란색 디렉토리
-> 검정색 파일

 

# mkdir /root/d /home/e /root/f
-> 한번에 여러개를 만드는것도 가능하다.
-> 한번에 만드는 경우 root, home 두가지에 만들었다.
-> ls로 확인 e는 home에 만들어져서 ls하면 안보인다.

 

# mkdir korea1 korea2 korea3
-> 경로를 생략하면 내현재 위치에 만들어진다.
-> ls로 확인

 

-> vi창을 들어간다.

 

-> ONBOOT = yse로 설정

 

-> 설정후 :wq 를통해 저장하고 vi 창을 벗어난다.

 

-> reboot를 통해 변경한 값을 적용받는다. ( 재부팅 )

 

-> 스냅샷 찍는법

 

-> 스냅샷 찍는법

 

-> ls 명령어에 옵션 l을 사용해 ls -l로 sysconfig안에 내용 자세히 볼수 있다.

 

-> ls 명령어에 옵션 a를 사용해 ls -a로 sysconfig안에 숨겨진내용 볼 수 있다.

-> 숨겨진내용은 이름앞에 .이 표시되 있다.

 

-> 옵션 la를 사용해 숨겨진내용을 자세히 볼수 있다.

 

-> 옵션lh를 이용해 root root 뒤의 1.3K라는 올림처리한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 옵션 R을 이용해 하위폴더의 내용까지 확인한다.

 

-> 옵션S를 이용해 용량이 클수록 왼쪽부터 순서대로 정렬

 

-> 옵션 lS를 이용해 용량이 큰 순서대로 위에서 부터 정렬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_day06  (0) 2017.07.18
DBMS_day05  (0) 2017.07.17
DBMS_day04  (0) 2017.07.17
DBMS_day02  (0) 2017.07.13
DBMS_day01  (0) 2017.07.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