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 SQL에디터에서 Ctrl + s (저장) # Workbench에서 작성한 쿼리를 .sql 인 파일로 저장을 해 놓고 언제든지 필요할 때 그 쿼리를 다시 열어 재 전송할 수 있다. 많은 쿼리들을 빈번하게 사용될 때는 파일로 저장 해 놓고 사용하는게 쿼리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 나혼자만 쓸때는 파일로 저장 # 여러명이 같이 일괄적으로 묶음 전송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 Stored Procedure사용 ) # Stored Procedure(스토어드 포로시저) : 여러 수백 수천개의 SQL들을 한대 묶음화하는 기능이다. # 스토어드 프로시저를 사용하는 목적은 여러 SQL들을 묶음으로 빈번하게 쿼리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근데 그 묶음에 쿼리들을 여러 개발자와 MySQL 관리자가 다..
# 뷰어를 만들면 그 뷰어도 테이블 목록에 출력 된다. show tables로 만들어져 있는 뷰어와 테이블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drop view uv_memberTBL; -> uv_memberTBL이라는 뷰어를 삭제한다. # 왼쪽 목록에있는 VIEW마우스 우클릭 create view `memberTBL_view` as select memberID, memberAddress from memberTBL; # employee 압출풀고 # workbench -> management -> data import -> self -> employees.sql -> new해서 이름 : employees # 스키마창에서 새로고침 -> use employees; -> show tables; # 자료형 - char ..
# 네이버에 엑셀뷰어 # ncpa.cpl # NN체크 : NULL허용하지 않겟다. # PK체크 : 중복이 안되게한다. # show tables; 위 쿼리처럼 데이터베이스 이름이나 테이블 이름에 공백을 포함하고 있으면 select 쿼리를 작성하는 것이 불편하므로 공백 없는 이름으로 작명하는 것이 개발자도 DB 관리자도 편하게 하게 된다. # workbench에서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을 만들었을 때 좌측 화면 목록에 안보이는데 그때는 새로고침 해야한다. # create table `my DB`.testTBL ( id INT NOT NULL primary key, name CHAR(15) NOT NULL, age INT ); -> 위 쿼리는 my DB라는 데이터베이스에 testTBL 이라는 ..
# workbench에서 -> use mysql; -> select * from korea; ( korea table에 모든것을 보여주라는 뜻 ) -> error발생 mysql안에 korea가 있지 않기 때문이다. -> use test; -> select * from korea; ( korea table에 모든것을 보여주라는 뜻 ) -> 실행 가능test안에 korea가 있다. # select 쿼리를 통해 지정한 테이블에 데이터를 출력해서 확인 할 수 있다. # select 쿼리는 지정한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쿼리를 전송하게 된다. -> use mysq; -> select * from test.korea ( test라는 데이터베이스안에 있는 korea라는 테이블의 데이터출력 ) -> 실행 가능 # te..
#PuTTY로 MySQL 접속 # MySQL 외부 접속 허용하기 1. mysql -u root -p 2. use mysql; ( mysql의 명령은 뒤에 세미콜론이 붙는다. ) -> Database changed :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 것을 알려준다. 3. grant all privileges on *.* to 'root'@'%' identified by 'mysql root password'; 4. exit ( mysql 로그아웃 ) 5. systemctl restart mysqld # workbench 가동 # 서버실 mysql 사무실 workbench # PuTTY로 사무실에서 접속 1. 방화벽 3306허용 2. MySQL 외부 접속 허용하기 # DBMS1 스냅샷 -> MySQL 외부 접속 허용..
# 가상컴퓨터 복사할때 전원 꺼야한다. # init 0 : 전원끄기 # Manage -> Clone 후 다음 다음 # Create a linked clone , Create a full clone # 가상 컴퓨터 복제 종류 - Link 복제 : 복제하는 가상컴퓨터의 디스크를 복제하지 않고 원래 있는 디스크 한개를 복제한 가상 컴퓨터와 같이 하나의 디스크로 사용한다. ( DBMS1에 RAM CPU GPU HDD 중에서 DBMS2로 복제될때 HDD빼고 복제가된다. HDD는 같이쓴다. ) -> 장점 : 용량이 낭비되지 않는다. -> 단점 : 성능이 저하 된다. - Full 복제 : -> 장점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 단점 : 용량이 낭비 된다. # 가상 컴퓨터 복제를 진행할 때 전원을 꺼야지 전원을 일시..
# CentOs 리눅스 운영체제에 무엇인가를 설치할 때 yum 명령어를 통해서 원하는 것을 설치할 수 있다. # 인터넷 : 인터네트워크 # 네트워크 ( Net + Work ) # yum 명령어는 외부 인터넷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받아서 설치를 진행하게 된다. # yum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인터넷망과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 ping 168.126.63.1로 통신여부확인 Ctrl + c # yum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인터넷 망과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 yum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도메인주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도메인주소 - www.naver.com - www.google.com -> 도메인 # ping www.google.com 해보기 -> ping을 도메인주소로 했을때 통신이 된다면 도메인주..
# touch aaa # vi aaa -> 지정한 파일을 열때 -> i를 눌러서 입력모드 -> Hello World -> aaaaaaaaaaa -> bbbbbbbbb -> cccccccccccc -> esc로 이동모드 # ~ : 내용이 없음을 뜻한다. ============= 이동모드의 단축키============= # shift + 6번 (^)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처음으로 이동한다. # shift + 4번 ($) :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한다. # 아무말이나 막써서 줄을 많이만들어 놓는다. # [[ : 문서의 처음행으로 이동한다. # ]] : 문서의 마지막행으로 이동한다. # l(엘) : 커서가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한다. # h : 커서가 왼쪽으로 한칸 이동한다. # j : 커서가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