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DBMS_day02 본문
#가상 하드 디스크의 타입의 종류
# 고정 크기
- 장점 : 성능이 동적 크기보다 좋다.
- 단점 : 불필요하게 용량이 낭비될 수 있다.
- Allocate all disk space now 체크
# 동적 크기
- 장점 : 불필요한 용량 낭비가 없다.
- 단점 : 성능이 고정 크기보다 안 좋다.
# 가상 하드디스크 파일 종류
- 싱글파일 : 가상 하드 디스크를 만들면 파일로 저장이 되어야 한다. 저장되는 파일을 파일 1개로 저장한다.
- 멀티파일 : 여러개의 파일로 쪼개서 저장한다.
# 싱글파일
- 장점 : 파일 관리가 용이하다.
- 단점 : 파일 하나의 용량이 너무 커질 수 있다.
# 멀티파일
- 장점 : 파일 용량을 여러개로 쪼개져 있다.
- 단점 :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 마우스는 뺄때는 : Ctrl + Alt
# 마우스를 넣을때 : Ctrl + G
# VMWare에 기능 : ISO 파일을 가상으로 실제 CD가 인식된것 처럼 만들 수 있다.
# Setting -> CD/DVD
# Ctrl + Alt + insert = 가상컴퓨터재부팅
# CentOS를 설치하면 계정이 자동으로 한개 만들어지는데 root라는 이름으로 관리자 계정이 만들어진다.
# root계정의 암호만들기 -> 원하는 비밀번호로 설정
#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환경
- GUI : 그래픽 환경을 보면서 마우스를 사용해 작업하는 환경을 뜻 한다.
- CLI : 명령어를 사용해서 작업하는 환경을 뜻 한다.
# 로그인 할때
local host login : root
Password : ( 보이지않음 )
# 입력 대기상태 :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 로그인을 진행하면 입력 대기 상태로 진입되고 명령어라는 것을 입력할 수 있다.
# 명령어 : 운영체제한테 무엇인가 작업을 하라고 지시하는 것을 명령어라고 한다.
예) 파일을 만들어라 or 폴더를 삭제해라
-> CLI 환경
# CentOS를 설치할 때 CLI 환경만 설치하고 GUI 환경은 설치하지 않앗다.
- 서버운영을 할때 GUI환경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낫다.
# GUI 설치를 진행하면 컴퓨터의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 GUI 설치 진행을 안 하면 리소스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clear명령어 ( 화면을 깔끔하게 지워준다. )
# hostname명령어 ( 컴퓨터 이름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 hostnamectl set-hostname DBMS1 ( 컴퓨터 이름을 변경 )
# @왼쪽 : root 계정이름 @오른쪽 : 컴퓨터이름
# exit명령어 ( 로그아웃 )
# 컴퓨터, 핸드폰, 프린터, 냉장고, TV, CCTV 등 장치들이 통신을 진행하는 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Address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 통신 :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뜻 한다.
# IPAddress :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
-> 컴퓨터도 데이터를 보낼때에는 주소를 사용해서 보낸다.
# IPv4 : X.X.X.X
- X 마다 0~255 사이에 수가 올 수 있다.
예) 192.168.10.127
# IPv6 : 많이 보편화 되지는 않았지만 IPv4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디바이스들끼리 서로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때 ICMP라는 데이터를 상대방한테 전송해서 상대방이 그걸 받았을 때 나한테 ICMP를 전송함으로써 서로 통신이 가능한지를 체크할 수 있다.
# ping 8.8.8.8 ( ping명령어는 지정한 IP로 ICMP를 전송 시킨다.)
-> ping명령어를 통하여 통신 유무를 판단 해 볼 수 있다.
# ip address show
-> ip address show를 이해하기 위해 lan카드를 알아야한다.
-> 줄여서 쓰면 ip a
# lan 카드
-> 다른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해서 lan카드 사용한다.
-> lan 카드를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하고 NIC라고도 한다.
# ip address show 명령어 ( 장착 된 네트워크 어댑터의 목록과 함꼐 설정 정보를 보여달라는 명령어이다. )
-> lo , ens33 : 장착되어진 네트워크의 이름이다.
# 루프백(lo) :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 ens33 : 가상컴퓨터의 lan카드
# 리눅스를 처음 설치했을 때 네트워크 어댑터가 비활성화 상태이다.
그래서 IP주소가 설정이 안되 있게 된다. 통신도 못한다.
# ifup ens33 명령어 ( 지정한 어댑터(ens33)를 활성화 시킨다는의미 )
# ifdown ens33 명령어 ( 지정한 어댑터(ens33)를 비활성화 시킨다는 의미 )
# ping 명령어를 사용하면 ICMP를 취소할 때 까지 계속 전송한다.
-> 취소는 Ctrl + C 로 취소 할 수 있다.
# reboot 명령어 ( 재부팅 )
# 재부팅한후에 ping 8.8.8.8을하면 통신이 또 안된다.
# 네트워크 어댑터를 활성화 시킨 것이 재 부팅할경우 다시 비 활성화가 된다.
# 가상컴퓨터 x누른후 power off
-> ifup ens33으로 활성화 해놨을 경우
-> ens33의 inet을 알수있다.
-> inet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 ifdown ens33으로 비 활성화 해놨을 경우
-> ens33의 inet을 알지못한다.
-> inet을 알 수 없다. 통신이 불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_day06 (0) | 2017.07.18 |
---|---|
DBMS_day05 (0) | 2017.07.17 |
DBMS_day04 (0) | 2017.07.17 |
DBMS_day03 (0) | 2017.07.13 |
DBMS_day01 (0) | 201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