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리눅스 RAID - Mirror / Level 0+1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 방법들을 레벨이라 하는데 레벨에 따라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다. -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작동하게 하는데, 하드웨어적인 방법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있다.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운영 체제에 이 디스크가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주로 운영체제 안에서 구현되며, 사용자..
리눅스 RAID - Linear / Stripe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나누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 방법들을 레벨이라 하는데 레벨에 따라 저장장치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다양한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다. -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작동하게 하는데, 하드웨어적인 방법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있다.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운영 체제에 이 디스크가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주로 운영체제 안에서 구현되며, 사용자에게 ..
리눅스 LVM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LVM ( Logical Volume Manager )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로 통합한 후 파티션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 Physical Volumn ( 물리 볼륨 )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의미한다. - Volume Group ( 볼륨 그룹 ) : 물리볼륨이 합쳐진 가상의 하드디스크를 의미한다. - Logical Volume ( 논리 볼륨 ) : 가상의 하드디스크인 볼륨그룹에서 분할된 파티션을 의미한다. - Physical Extent ( PE ) : PV가 갖는 일정한 블록 - Logical Extent ( LE ) : LV가 갖는 일정한 블록 - LVM을 사용하기 위한 순서는 물리볼륨 생성 -> 볼륨그룹 생성 ..
리눅스 쉘스크립트 실습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쉘스크립트를 이용해 백업파일 만들어보기 - 만들어진 백업파일을 구분하기위해 백업디렉토리안에 날짜를 이용해 디렉토리를 구분한다. *** rsync 설치 - cp와는 다르게 파일내용이 변경이 안되면 복사하지 않는다. *** 쉘스크립트 파일 만들기 => 쉘스크립트 실행시 백업디렉토리가 없으면 백업디렉토리를 만든뒤 그경로 안에 생성하는데 디렉토리명 뒤에 날짜를 뭍여 백업파일을 만든다. *** 쉘스크립트 파일 실행하기 -> /bin 디렉토리 안에 넣었기 때문에 파일명으로 바로실행가능 *** 백업해서 만들어진 파일확인 *** 쉘스크립트를 cron으로 실행하기 # /etc/crontab -> 매일 새벽 4시 10분에 backup.sh파일이 실행..
리눅스 쉘스크립트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리눅스 실행 파일의 두 가지 형식 - 바이너리 파일 : 컴파일해서 나온 실행파일 ex) ls, mv, ps - 쉘 스크립트 파일 : 텍스트 형태의 파일이지만 실행멸영어들을 모아놓은 배치파일 ex) /etc/init.d/network, /etc/init.d/sshd *** 쉘스크립트 - 서버 관리를 하기 위해 반드시 필수이며 많은 프로그램들이 쉘 스크립트 파일로 작성되어 있다. - 파일 생성후 실행권한으로 변경한다. - 꼭 실행권한이 있어야 되는건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실행권한이 있어야 한다. - 파일의 확장자는 sh로 sh로 끝나면 쉘스크립프 파일임을 알 수있다. #2 쉘 스크립트 파일실행 두 가지 방법 ***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파일로 ..
리눅스 netcat을 이용한 bind / reverse connection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netcat 설치 *** wget설치 *** wget이용해 netcat-0.7.1.tar.gz 파일 다운로드 *** tar이용해 압축해제후 실행파일생성 *** 만들어진 실행파일 확인 #2 bind connection - window *** windows : 8000번 포트를 열어놓는다. *** Linux : Windows로 접속시도후 데이터 작성 *** Windows : Linux에서 전송한 데이터 확인 #3 Reverse connection : 리눅스에 방화벽이 설정되어 접속이 안된다. *** Linux : 8000번 포트를 열어놓는다. *** Windows : Linux로 접속..
리눅스 프로세스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 -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에 파일형태로 저장되어있다. - 프로그램은 실행시에 프로세스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담고있다. - /proc 디렉토리 : 실제 메모리에서 동작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가상 파일시스템 디렉토리이다. - 포르세스의 상태로는 준비, 실행, 대기, 종료 상태를 가지고있는다. #2 프로세스 실행방식 ***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대화하는 프로세스, bash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된다.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대화하지 않고 사용자 뒤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이다. -> 데몬, 시스템운영에 ..
리눅스 사용자와 그룹 useradd / userdel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CentOS6 #1 사용자와 그룹 - /etc/passwd : 사용자에 대한 정보 - /etc/group : 그룹에 대한 정보 - /etc/shadow : 사용자에 대한 비밀번호 정보 - /etc/skel : 사용자 생성시 홈 디렉토리에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 /etc/passwd 파일 -> 관리자의 UID : 0 ( root ) -> 일반유저 UID : 500부터 시작한다. *** /etc/group 파일 -> 기본그룹 GID 옆에 설정이 안 되어있지만 그룹에 포함된 멤버에 목록이있다. -> 그룹은 기본그룹과 보조그룹으로 되어있다. *** /etc/shadow 파일 -> 암호화된 패스워드는 $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