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Linux_리눅스 LVM 본문
리눅스 LVM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LVM>
#1 LVM ( Logical Volume Manager )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로 통합한 후 파티션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 Physical Volumn ( 물리 볼륨 )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의미한다.
- Volume Group ( 볼륨 그룹 ) : 물리볼륨이 합쳐진 가상의 하드디스크를 의미한다.
- Logical Volume ( 논리 볼륨 ) : 가상의 하드디스크인 볼륨그룹에서 분할된 파티션을 의미한다.
- Physical Extent ( PE ) : PV가 갖는 일정한 블록
- Logical Extent ( LE ) : LV가 갖는 일정한 블록
- LVM을 사용하기 위한 순서는 물리볼륨 생성 -> 볼륨그룹 생성 -> 논리볼륨 생성 -> HDD로 이용한다.
*** HDD 3개 추가
-> 하드디스크를 3개 추가하고 확인해본다. 하드디스크를 추가할땐 가상머신을 종료한뒤에 추가하도록 한다.
*** 파티션 분할
# fdisk 장치명
- fdisk 명령을 이용해 분할한다.
fdisk /dev/sdc
n -> p -> 1 -> 엔터 -> 엔터 -> t -> 8e -> w
fdisk /dev/sdd
n -> p -> 1 -> 엔터 -> 엔터 -> t -> 8e -> w
fdisk /dev/sde
n -> p -> 1 -> 엔터 -> 엔터 -> t -> 8e -> w
-> n은 파티션 생성을 의미, t 는 시스템 ID 변경을 의미, w는 저장이다.
-> p, 1, 엔터, 엔터는 각각의 하드디스크를 전체용량으로 파티션을 생성하는 것이다.
-> 8e는 LVM을 의미한다.
-> 설정이 끝나면 위와같이 설정되어 있어야한다.
*** 물리볼륨 생성
# pvcreate 장치명
# pvdisplay : 물리 볼륨 확인
*** 볼륨그룹 생성
# vgcreate 장치명
# vgdisplay : 물리 볼륨 확인
*** 논리볼륨 생성
- 논리볼륨은 실제 사용할 장치이므로 파일시스템을 설정해야한다.
- 2개의 논리불륨 생성
## VG1
-> 논리 볼륨 생성후 파일시스템을 ext4로 설정한다.
## VG2
*** 마운트
- 마운트후 확인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_리눅스 RAID - Mirror / Level 0+1 (0) | 2018.07.20 |
---|---|
Linux_리눅스 RAID - Linear / Stripe (0) | 2018.07.20 |
Linux_리눅스 쉘스크립트 실습 (0) | 2018.07.12 |
Linux_리눅스 쉘스크립트 (0) | 2018.07.11 |
Linux_리눅스 netcat을 이용한 bind / reverse connection (0) | 201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