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리눅스 파일 MAC time / 특수파일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CentOS6 #1 MAC time 용어/실습 Mtime (Modification) : 파일의 내용을 마지막으로 수정한 시간 Atime (Access) : 파일을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 Ctime (Change) : 파일의 속성을 마지막으로 변경한 시간 stat : MAC time을 한번에 확인 할 수 있다. ( i-node에 대한 속성 정보 확인 ) -> 파일 또는 파일시스템 상태 조회, 파일크기, Inode 번호, 링크 수, 퍼미션, UID, GID, 접근/수정/변경 일시 확인 가능 -> touch를 이용해 파일을 만들고, vi를 이용해 파일에 접근하고 아무런 내용도 입력하지 않으면 Access time이 변경된다. -> chmod..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파일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실습 - 파일 종류의 이해 - : 일반 파일 (txt, jpg, gif) b : 블록 장치(block device) 파일(주로 디스크, /dev/sda ) c : 문자 장치(character device) 파일(주로 입/출력에 사용, /dev/console 등) d : 디렉토리 p : 파이프 (통신용) s : 소켓 (통신용) l : 심볼릭 링크 (윈도우 바로가기) *** 파일 종류 확인하기 *** 파일 및 디렉토리 리스트 확인 ls (LiSt) dir -a 숨겨져 있는 파일까지 출력 -l 자세히 출력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 ls --help를 이용해 도움말 참조가능 *** 파일 생성 t..
리눅스 history특징 / 디렉토리구조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CentOS6 #1 쉘에 대한 이해와 명령어에 대한 이해 쉘이란 명령어 해석기로써 커널과 사용자 중간에 위치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해서 커널에 전달한다. 커널은 쉘에서 전달받은 명령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사용자 -> 쉘 -> 커널 -> 하드웨어 쉘의 종류 : Bash Shell, Bourne Shell, Korn Shell, C Shell, TC Shell 가장 많이 사용되는 리눅스 쉘 Bourne Shell 을 기반으로 하며 C Shell 과 Korn Shell 의 장점을 결합해서 명령어 히스토리, 명령어 완성기능 명령어 치환, 명령행 편집등을 지원하고 POSIX와도 호환된다. - 명령행 편집 기능 ( ^ : Ctrl ..
리눅스 서버 접속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서버를 사용하기 전에 알고 있어야하는 내용 -> 실제 실습하는 경우 서버를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만들고 그 노트북으로 실습하고 사용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서버들은 IDC센터라는 곳에 위치하고 운영된다. 따라서 서버을 관리하려면 IDC센터가 위치한 곳에 매번가서 관리해야하는 불편함이 매우 크기때문에 원격접속이라는 것을 이용해 서버는 해당위치에 두고 원격으로 접속하여 운영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한다. 실습할때 Xshell이 왜 필요한지 감이안오지만 한 곳에 서버를 두고 멀리서 접속한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Host OS : 가상머신을 설치한 OS ( Window 7 ) Guest OS : 가상머신에서 설치한 OS #2 원격..
리눅스 환경 구축하기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 가상머신을 만든뒤 저장소에 설치하려는 파일을 넣고 가상머신을 실행하면 위와같은 창이뜬다. -> 가상머신을 켠뒤 가상머신밖 컴퓨터에서 마우스를 사용하려면 Ctrl + Art + Delete키를 이용해 가상머신을 빠져나올 수 있다. -> 디스크설치시 여러개로 분할해서 만들어본다. #1 #2 #3 #4 #5 #6 #7 -> 이설정을 하지않으면 나중에 리눅스 설치후 네트워크 설정파일에서 직접추가해야한다. -> 설정시 말그대로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연결해준다. #8 #9 #10 ->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를 통해 직접 만들어봅니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부트로더 암호는 나중에..
리눅스 환경 구축하기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기본값으로 설치 -> 설치완료후 가상머신 만들기 #1 새로만들기 -> 가상머신 이름을 설정, 종류는 Linux, 버전은 Red Hat(64-bit) #2 메모리크기 -> 메모리 크기는 기본값인 1024로 설정 #3 하드디스크 -> 기본값인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설정 #4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 -> 기본값인 VDI 설정 #5 물리적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 -> 기본값인 동적 할당 설정 #6 파일 위치 및 크기 -> 자신이 설치하려는 파일위치를 선택하고 크기는 기본값인 8G로 설치한다 #7 저장소설정 -> 가상머신을 만들었으면 저장소를 설정하여 자신이 설치하려는 컨트롤러를 설정한다. #8 오디오설정 -> 오디오는 사용할 일이 없으므로 설정해제..
SQL에서 사용되는 함수는 크게 단일행 함수와 복수행 함수로 구분할 수 있다. 단일행 함수는 여러 건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하나씩 처리하는 함수이다. 반면 복수행 함수는 여러 건의 데이터를 동시에 입력을 받아서 결과값 1건을 만들어 주는 함수이다. 단일행 함수로는 문자함수, 숫자함수, 날짜함수, 변환함수, 일반함수가 있다. # 문자함수 ## INITCAP('컬럼 또는 문자열') -> 첫글자만 대문자로 출력하고 나머지는 전부 소문자로 출력하는 함수 공백이 있는 경우 공백다음도 첫 글자로 생각해서 대문자로 출력된다. ## LOWER('컬럼 또는 문자열') -> 입력되는 값을 전부 대문자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 UPPER('컬럼 또는 문자열') -> 입력되는 값을 전부 대문자로 ..
데이터들을 조회하기위해서는 SELECT쿼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SELECT쿼리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조회하는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무수히 많을때 같은 결과값이 조회되지만 방법에 따라 SQL수행 속도가 늦어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SELECT쿼리를 조회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SELECT쿼리를 다음과같은 형식을 따른다. SELECT 컬럼 FROM 테이블명 # desc -> 해당 테이블에 있는 컬럼 정보들을 출력해준다. -> 테이블 목록을 출력한다. -> 해당 테이블의 컬럼이름과 타입을 출력해준다. # 컬럼에 별칭을 사용해보기 'Good morning'이라는 문자열을 "Hello"라는 별칭으로 출력했다 별칭은 " " 큰따음표 안에 사용한다. -> dual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