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74)
정보보안공부
리눅스 파일의 용량,개수 제한 / 사용자 제한 quota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CentOS6 #1 파일의 개수에 따른 제한 - df -i했을때 해당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한 디렉토리는 파일의 개수에 따라 일정 개수가 넘어가면 파일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 /root/quota/disk1 디렉토리와 /root/quota/disk1.dd 는 서로 마운트 되어있다. -> disk1디렉토레안에 while문을 이용해 파일을 계속 만들어본다. -> 파일개수가 일정량을 넘어서면 파일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 파일의 개수가 100%가 되면 더이상 파일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2 파일의 용량에 따른 제한 - df 했을때 해당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한 디렉토리는 파일의 용량에 따라 일정 용량이 넘어가면 파일은 복사되지..
리눅스 디스크 관리 / fdisk / mount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하드디스크 추가 - 실행중인 가상머신을 종료한뒤 설치한다. #2 디스크 확인 - fdisk -l 로 만들어진 디스크를 확인한다. #3 파티션 분할 - fdisk 분할할 하드디스크명 - 1G, 3G, 5G, 나머지로 분할 -> m 을이용해 다른 옵션들 확인 #4 포맷 - 파티션 분할이 끝난뒤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명령어로 포맷한다. -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ext4 사용 - mkfs.ext4 /dev/sdb1 - mkfs.ext4 /dev/sdb2 - mkfs.ext4 /dev/sdb3 - mkfs.ext4 /dev/sdb4 #5 마운트 / 마운트 확인 - 하드웨어장치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
리눅스 vi / vim 간단한 사용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vi - vi는 윈도우에서 메모장 같은 편집할수 있는 창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 메모장을 다루는 것처럼 vi도 간단히 삭제/수정/편집 등을 할 수 있어야한다. *** 입력키 - i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왼쪽에서부터 입력 - a : 현재 커서 위치에서 오른쪽에서부터 입력 - o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아랫줄에 입력 - I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 맨앞에 입력 - A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 맨뒤에 입력 - O :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윗줄에 입력 *** 커서이동 -> 커서이동시 입력모드상태에선 동작하지 않으므로 esc를 누른뒤 사용 - h : 커서를 왼쪽으로이동 - j : 커서를 아래로 이동 - k : 커..
리눅스 파이프 / 리다이렉션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CentOS6 #1 파이프 - 파이프는 프로세스( 명령어끼리 ) 통신하는 방법 - 파이프 사용 : 명령어 1 | 명령어 2 | 명령어 3 ... *** 파이프 형태 만들어보기 -> cat의 결과를 통해 grep으로 root가 포함된 부분을 찾는다. -> cat의 결과를 통해 grep으로 root가 포함된 부분을 찾고 wc -l을 이용해 해당줄이 2줄로 되있음을 나타낸다. *** 파이프 형태 실습해보기 -> process1.c 파일 : Hello출력해주는 파일 -> process2.c 파일 : 문자를 입력받아 출력해주는 파일 -> process1파일을 실행하면 Hello!가 출력된다. -> process2파일을 실행하면 입력한 안녕하세요!가 출력된다..
리눅스 setuid / setgid / stickybit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setuid - 사용자가 실행파일을 실행 시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하는 권한 # chmod u+s 파일이름 # chmod 4755 파일이름 *** 대표적인 setuid파일 /usr/bin/passwd - 비밀변경을 할수있는 명령어가 passwd이므로 해당 -> setuid를 제거하고 실행하면 위와같이 오류가 발생한다. -> 파일소유자가 root에 setuid가 되어있는 파일은 의심해야하지만 위처럼 setuid가 없다면 반드시 필요한 동작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 악의적인 setuid 예 -> setuid가 설정되어있다면 root만 접근가능한 /etc/shadow파일에도 일반사용자들이 접근할..
리눅스 명령어 퍼미션 / chmod / chown / chgrp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퍼미션 - r(읽기) : 4 - w(쓰기) : 2 - x(실행) : 1 - -(아무권한없음) : 0 -> 맨앞은 파일의 종류를 의미한다. ( - : 일반파일 , l : 심볼릭링크파일, d : 장치파일 ) -> 파일의 종류뒤로는 rwx (소유자), rwx (소유그룹), rwx ( 그밖의 사용자 ) -> 아무권한이 없는 경우 - 로 표시한다. #2 chmod : 권한 변경시 사용 # chmod # chmod - 숫자로 권한 부여하기 - rwx로 권한 부여하기 - 자신의 파일만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 root도 가능하지만 파일의 소유자도 가능 ) *** 숫자로 권한부여하기 -> 777은 소유..
리눅스 명령어 find / grep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find 명령어 : 파일 찾기 사용법 : find [경로] 옵션 action *** name / type 옵션 - name : 파일을 이름으로 찾을 때 사용 - type : 파일을 종류로 찾을 때 사용 -> 경로는 / (최상위) -name 옵션을 이용해 파일의 이름을 찾는다. -> *을 이용해 .bash가 맨뒤에 있는 파일이름만 찾는다. -> -type 옵션을 이용해 s (소켓파일) 인 파일만 찾는다. -> -o 옵션을 이용해 확장자가 .php인것과 .txt 인것을 검색한다. *** perm 옵션 - perm : 파일을 권한으로 찾을 때 사용 ( 백도어 찾을 때 유용하다 ) -> /usr 위치에서 -perm -4000 ..
리눅스 심볼릭링크/하드링크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1 심볼릭링크와 하드링크의 차이 하드링크 심볼릭링크 ln 옵션 없음 -s 하드링크 개수 링크마다 1 증가 링크 개수 증가 안함. 원본 파일 용량 용량 X(원본용량) 용량 있음(파일명이 용량) 다른 파일시스템 링크 불가 링크 가능 디렉토리 링크 불가 링크 가능 원본 파일 내용 접근 가능 접근 가능 파일 내용 수정 원본파일 내용이 수정 원본파일 내용이 수정 원본 파일 삭제 삭제후 링크파일 접근 가능 삭제후 링크파일 접근 불가 (고아링크) 퍼미션 퍼미션 의미있음 의미없음(원본의 권한을 따름) #2 심볼릭링크 심볼릭 링크 파일 만드는 형태 : ln -n 원본파일 링크파일 심볼릭 링크 사용이유 2가지 심볼릭링크는 명령어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