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Linux_리눅스 디스크관리 / fdisk / mount 본문

Linux

Linux_리눅스 디스크관리 / fdisk / mount

Steady_sp 2018. 7. 5. 13:04

리눅스 디스크 관리 / fdisk / mount

- 오라클 가상 머신 사용

- CentOS6

 

<디스크 관리 / fdisk / mount>

 

#1 하드디스크 추가

- 실행중인 가상머신을 종료한뒤 설치한다.

 

 

 

#2 디스크 확인

- fdisk -l 로 만들어진 디스크를 확인한다.

 

 

#3 파티션 분할

- fdisk 분할할 하드디스크명

- 1G, 3G, 5G, 나머지로 분할

 

 

 

-> m 을이용해 다른 옵션들 확인

 

 

 

 

 

 

#4 포맷

- 파티션 분할이 끝난뒤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명령어로 포맷한다.

-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ext4 사용

- mkfs.ext4 /dev/sdb1

- mkfs.ext4 /dev/sdb2

- mkfs.ext4 /dev/sdb3

- mkfs.ext4 /dev/sdb4

 

#5 마운트 / 마운트 확인

- 하드웨어장치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와 연결해준다.

- 마운트를 하기위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하나의 파티션은 하나의 디렉토리로 사용한다.

- mount 장치명 디렉토리명

- df를 이용해 마운트 확인

 

 

#7 영구적으로 마운트

- 재부팅을 하게되면 마운트가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영구적으로 마운트하기 위해서는 /etc/fstab에 내용을 추가해야한다.

 

 

-> vi /etc/fstab후에 :r !blkid 를 이용한다.

-> 장치명과 LABEL 명은 다른 시스템에서 HDD를 가져와서 붙힐경우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가 위해서 CentOS 6부터는 고유번호인 UUID를 사용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