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DBMS_day04 본문

데이터베이스

DBMS_day04

Steady_sp 2017. 7. 17. 23:50

# 디렉토리 만들때 : mkdir

 

# 최상위루트(/root) 상태에서 /etc/sysconfig/network-scripts 안에다가 폴더를 a랑 b를 만들려면
-> mkdir /etc/sysconfig/network-scripts/a /etc/sysconfig/network-scripts/b : 효율성이 떨어진다.
-> mkdir /etc/sysconfig/network-scripts/{c,d}

 

# 동일한 경로에 여러개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 } 중괄호를 사용해서 지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 한번에 여러개의 디렉터리를 만드는데, 디렉터리 안에 디렉터리 안에 디렉터리를 만들기
-> /root/test1/test2/test3 : 한번에 만들기
1) mkdir test1/test2/test3 : 에러가 발생한다. ( test3를 만들라는 뜻인데 tes1안에 test2안에 test3를 만들라는 뜻, test1, test2는 아직 없다.)
올바른 표기 : mkdir test1 test1/test2 test1/test2/test3 : test1만든후 test2만들고 test3도 만든다.

2) mkdir ./{test1,test1/test2,test1/test2/test3} : ./ 생략가능

3) mkdir -p test1/test2/test3 : 옵션 p를 사용해 가장 간략히 진행할 수 있다.
-> test3를 만들때 test1,test2가 없을경우 자동으로 test1,test2도 만들어준다.

 

# mkdir의 옵션p는 지정한 디렉터리를 만들 때 만들라고 지정한 경로가 안 만들어져 있으면 함께 같이 만든다.

 

# mkdir -p a/b/c/d/e
-> ls명령어써서 확인한다.
-> ls a로 확인한다.
-> ls a/b로 확인한다.
-> ls -R로 하위폴더 전부 확인한다.

 

# 비어있는 디렉토리 지울때 : rmdir

 

# rmdir f
-> ls로 확인한다.

 

# rmdir b c d
-> b c d 를 지운다.

 

# rmdir 명령어를 통해 디렉터리를 삭제할 수 있는데, 삭제할 디렉터리 안에 아무것도 없어야 삭제 할 수 있다.

 

# rmdir은 빈 디렉터를 지울때 쓰는 명령어이다.

 

# 디렉터리는 뭔가를 담을 수 있는 바구니같은 것 여러가지를 담아 놓을 수 있다.
-> 디렉터리에는 파일을 담을 수 있다. ( 파일 =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문서 ) (파일 : 내용을 갖는다. )

 

# 파일을 만들때 : touch

 

# touch /root/F1

 

# touch ./F2

 

# touch F3

 

# touch F4 F5 F6

 

# ls 눌러본다.
-> 파란색 : 디렉터리
-> 검정색 : 파일

 

# ls -l눌러본다.
-> - : 파일
-> d : 디렉터리

 

# 파일을 지우는 rm 명령어 : 지울때 지울것인지 확인을 한다.
-> rm F1
-> n 누르면 지우는거 취소
-> y 누르면 지운다.

 

# rm -f F2
-> 물어보지않고 지운다.

 

# rm으로 디렉터리도 지울수 있다.

 

# rm test2 안된다.

 

# rm -r korea2
-> y누르면 지운다.
-> rm으로 디렉터리를 지울떄 옵션 r사용

 

# rm -rf a

 

# rm명령어를 통해 파일을 지울 수 있고 옵션 r을 쓰면 디렉터리도 지울 수 있는데 옵션 r을 써서 디렉터리를 지울 때 하위에 있는 전체 디렉터리 및 파일이 전부 지워진다.

 

# rm -rf *
-> * : 모든
-> 현재위치에있는 모든것을 물어보지않고 지운다.

 

# ~ : 최상위루트 ( /root )

 

# / : 최상위

 

# rm -rf /root/* : 루트안에 잇는것을 전부 지운다.

 

# rm -rf /root/* : 루트안에 지운다.
-> touch F1 | mkdir D1
-> ls로 확인한다.
-> |의 장점 세미콜론을 안쓰고 명령어를 여러개 실행 할 수 있다.
-> | 파이프라인을 우측에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 ; 세미콜론은 좌측에 명령어를 먼저 실행한다.
-> mkdir D1; touch F1

 

# 다음주는 AND 명령어와 OR 명령어를 진행한다.

-> mkdir 디렉터리(폴더)를 만드는 명령어

-> 옵션 -p를 사용하면 만들어지는 경로 a/b/c/d/e를 존재하지 않는 폴더여도 순서대로 만든다.

-> rmdir 비어있는 디렉터리를 지우는 명령어

-> rm 파일을 지우는 명령어지만 옵션 r을 추가하면 디렉터리도 지울수있다

-> rm -r로도 파일을 지울 수 있다.

-> rm 만쓰면 지울지 말지 물어보는데 y누르면 지우고 n하면 안지운다.

-> 질문을 생략하려면 옵션 -f를 사용하면 된다.

 

-> touch 파일을 만드는 명령어

-> touch F1 | mkdir D1 파이프라인의 오른쪽 명령어먼저실행하고 왼쪽명령어도 실행

-> touch F1 ; mkdir D1 세미콜론의 왼쪽 명령어 먼저실행하고 오른쪽 명령어도 실행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_day06  (0) 2017.07.18
DBMS_day05  (0) 2017.07.17
DBMS_day03  (0) 2017.07.13
DBMS_day02  (0) 2017.07.13
DBMS_day01  (0) 2017.07.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