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공부

python_day04_리스트,튜플,딕셔너리 본문

Language/python

python_day04_리스트,튜플,딕셔너리

Steady_sp 2017. 1. 13. 14:37

집합을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

- list

- tuple

- set

- dictionary

 

자료형의 분류

 

1. 변경 가능한 자료형 ( mutable )

- list

- dictionary

- set

 

2.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 ( immutable )

- tuple

- str

 

***리스트( list )

- 다른 언어에서는 배열이라는 이름으로 사용 (ex. C언어)

- lists = [1, 2, 3, 4, 5, 6, 7, 8, 9, 10]

- lists[0] = 15 지정가능

 

예)

10이하의 자연수의 집합

 

 

***리스트로 다양한 시도해보기

 

 

***리스트로 다양한 시도해보기 2

 

***sort를 사용한 list

- lists.sort() 사용시 : lists값에 순서를 정렬한 대로 바로 적용된다.

- sorted ( lists ) 사용시 : lists값에 순서를 정렬한 값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딕션어리(dic)

- dicts = { 'first' : 1, 'second' : 2, 'third' : 3 }

- dicts[0] = x

- dicts[ 'first' ] = o

- 키를 가진다.

- 값을 가진다.

 

 

--> 딕셔너리는 리스트와는 다르게 인덱스로 값을 나타내지않고 키값을 이용해 값을 나타낸다.

 

 

--> 해당 키의 값의 존재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 해당키를 통해 값을 얻으려할때 a[키]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오류표시가 있지만 a.get(키)의 경우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무값도 출력되지 않는다.

 

 

--> 해당키 1이 2개인경우 하나의 값만 선택되어진다.

 

 

--> 키만 알고싶을 때는 keys()를 이용해 해당변수의 키값만 볼 수 있다.

--> 값만 알고싶을 때는 values() 키와 값을 알고싶을 때는 items()를 이용한다.

 

 

--> 튜플의 키와 값을 추가할때는 a[키] = 값 을입력하면 딕셔너리에 추가된다.

--> 튜플의 키와 값을 삭제할 때는 del a[키] 를 입력하면 해당키와 값이 삭제된다

 

 

--> 해당 튜플의 값을 지울때는 clear()를 이용한다.

 

 

***튜플

- 리스트와 거의 동일

- 변경 불가능

- 집합 할 땐 소괄호 자리에 따른 위치 알고싶을땐 대괄호

- tuples = (1, 2, 3, 4, 5, 6, 7, 8, 9, 10)

- tuples[0]

- tuples[0] = 10 지정불가

 

 

***str

-변경 불가능

 

 

-str 쓸때 str(변수) = 변수에대한값
-str은 원래 str('문자')로 사용이지만 변수를 쓸때 '' 사용 x

 

 

 

1. 자료형들에서 공통으로 사용가능한 연산자

- list, tuple, dict, str, ...

 

2. 변경가능한 자료형들에서 사용가능한 연산자

- list, dict

 

3. 각각의 자료형마다 제공하는 기능

 

***len, min, max

- len : 길이, min : 최소값, max : 최대값

 

***index

- lists.index( x ) : x가 lists 에서 몇번째 수인가?

 

***count

- lists.count( x ) : lists에서 x의 총개수

 

***del

- del lists[2:4] : lists 2번째 부터 4번째 전까지 항목을 삭제한다.

 

***append

- lists.append( x ) : lists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한다.

-> lists 추가할때 append or extend or 덧셈연산자로( -> lists = lists + [5] )

 

 

-> append로 추가할때 append([  ]) 형태로 추가하게 되면 리스트안에 리스트가 추가되게 된다.

 

***extend

- lists.extend( [ x ] ) : lists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한다. 이때 [x] 로 추가 (주의.)

 

- extend는 여러개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insert

- lists.insert(x,y) : x번째에 y를 삽입한다.

-> list 중간에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

 

***pop

- lists.pop(x) : x번째 숫자를 지운다.

 

***reverse

- lists.reverse( ) : 순서를 반대로한다.

 

***remove

- remove(x)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sort

- sort()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 sorted()는 정렬한 값을 바로출력하고 값을 저장하지않는다.

- sort()는 정렬한 값을 바로 저장한다.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_day06_input함수 이용하기  (0) 2017.01.16
python_day05_집합, 논리와 논리식  (0) 2017.01.13
python_변수,사용자 입력과출력  (0) 2017.01.13
python_문자열  (0) 2017.01.13
python_연산자와 타입  (0) 2017.01.12
Comments